
카운티 캠핑카 만들기 시리즈의 다음 단계를 소개해 드립니다. 이번에는 내부 구성과 전체적인 설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캠핑카 전기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글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전기 설비는 옵션에 따라 설치가 공통되어 있지만 수량이나 설치 용도가 다르므로, 차박캠핑카 캠핑전기 설비 학습면 응용하셔서 안전기분에 맞게 작업하시면 됩니다. 캠핑카 전기 작업 시에는 각 전기 장치에 맞는 규격 배선을 사용하셔야 하며, 천장 작업 전에 중요한 배선을 사전에 설치하고 배선에 표시를 해두면 좌우 작업 시 오류 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카운티 캠핑카의 트렁크 부분(차량 후면)에는 먼저 벽장을 설치해야 합니다. 침상 프레임을 짜면서 동시에 설치해도 무방합니다. 차량 후면 유리창 부분은 가구가 설치되면 외부에서 벽장이 보이므로, 가구 설치 전에 유리창 안쪽에 검은 시트지를 붙이거나 탈거 상태에서 검은색 락카를 처리하면 됩니다. 캠핑카 완성 후 외부에서 가구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깔끔함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벽장을 설치하면서 에어컨 장착을 함께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가정용 220V 에어컨을 설치하는데, 실외기가 크기 때문에 카운티 캠핑카의 경우 운전석 라인 뒷바퀴 뒤 트렁크 부분을 타공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에어컨 회수와 동관 라인 작업은 차량 뒷벽장을 만들면서 가구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벽장 설치 시에는 TV, 에어컨, 기타 전기장치 설치를 감안하여 타공한 후 콘센트 등의 전기 사용 설비를 준비해야 합니다.
침상 프레임이 완성되었다면, 그 아래에 중요 장치인 자동차 배터리에서 보조 배터리로 연결되는 캠핑카의 주 전기장치 위치를 확인하고 침상 상판 설치 전에 설비해야 합니다. 자동차 배터리에서 주행 충전 장치를 통해 보조 배터리로 라인을 설치하고, 보조 배터리에서 220v 공급 장치인 인버터, 외부 전기 공급 장치, 기타 컨트롤 스위치로 가는 옵션 장치 등을 연결해야 합니다. 각 연결부에 통합 퓨즈 장치를 설치하면 안전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캠핑카의 물 사용 장치도 사전에 연결해야 합니다. 외부 물주입 청수통으로 연결되고, 이 청수통에서 워터펌프를 이용해 각 물 시설로 공급하는 설비를 합니다. 욕실 아래 보수통, 수도 라인과 오수라인을 함께 연결하고, 싱크대는 침상 아래 워터펌프에서 공급되는 청수를 사용합니다. 사용된 폐수는 침상 아래 라인을 거쳐 욕실 라인까지 연결됩니다. 중간에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냉수와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침상 상판을 설치한 후에는 차량 좌 우측 천장 상단 부분 상부장을 장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싱크대와 욕실의 분리 칸막이를 먼저 설치한 다음 상부장 설치를 권장합니다. 상부장은 벽장과 욕실, 싱크대 사이에 설치되는 수납 공간으로, 정확한 길이 측정이 중요합니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미리 상부장을 제작하기보다는 캠핑카에서 조립 상태로 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부장 설치 시 자동차 천장 프레임 부분에 직결 피스를 사용하면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벽장과 욕실, 싱크 분리막 사이 상부장 좌측을 필수로 고정 체결하면 주행 중이나 캠핑 시에도 상부장이 떨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습니다.
상부장 설치 전에는 천장 부분에 설치된 전기 배선 라인을 확인하고, 상부장을 타공하여 간접 조명을 위한 라인을 함께 설치해야 합니다. 상부장의 손잡이는 캠핑카 카라반 전용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잠금장치가 있어 주행이나 캠핑 시 상판이 열려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일반 가구 손잡이에는 이러한 잠금 기능이 없습니다.

싱크대 상판은 인덕션이나 가스레인지를 사용한다면 불연 소재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 실내에서 화기를 사용하면 항상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불연 소재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 카운티 캠핑카는 승차 정원 4명, 취침 정원 3명으로 설계된 차량입니다. 엔진룸 부분을 침상 구조로 설계하여 가구를 만들었습니다.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엔진룸 부분은 차후 수리나 보수를 위해 상판 덮개를 고정하지 않고 언제든지 열 수 있도록 제작했습니다. 운전석과 조수석 좌우에는 최대한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고 1인 침상을 설치했습니다. 엔진룸에는 1인 침상을, 운전석 뒷부분에는 전용 접이식 테이블을 설치했으며, 욕실과 테이블 사이에는 차량의 2인 시트를 이용해 승차석을 구성했습니다.

완성된 카운티 캠핑카의 가구 구성은 중앙통로를 중심으로 운전석에서 침실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좌측에는 싱크대와 상부장, 우측에는 테이블, 2인 차량 시트, 욕실, 상부장이 설치되었습니다. 천장 부분에는 조명 중앙 센터 라인을 설치했고, 환기 장치와 조명도 배치했습니다. 조명은 터치식으로 개별적 온오프 기능과 조도 조절이 가능한 캠핑카 카라반 전용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앙 통로에서 운전석 쪽을 바라보면 1인 침상과 좌우측에 마감된 작업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카운티 캠핑카는 원래 어린이 통학버스로 사용되던 숏바디 차량을 캠핑카로 개조하여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구조 변경한 사례입니다. 캠핑카 미니버스 제작 시 작업 순서를 지키면 순탄하게 진행할 수 있지만,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도전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모든 차박, 캠핑카 제작의 기본 원리와 원칙을 지켜 원하는 구성으로 만든다면, 나중에 수정이나 불필요한 비용 없이 행복한 캠핑 생활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전기 설비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연재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캠핑카DIY #카운티캠핑카 #캠핑카제작 #버스개조 #캠핑카인테리어 #차박인테리어 #캠핑카전기설비 #미니버스개조 #캠핑카가구제작 #카라반만들기 # 캠핑카DIY #카운티캠핑카 #캠핑카제작 #버스개조 #캠핑카인테리어 #차박인테리어 #캠핑카전기설비 #미니버스개조 #캠핑카가구제작 #카라반만들기
'중 대형버스 외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운티 캠핑카 핵심 작업: 오수통, 배터리, 단열 시공가이드 (2) | 2025.04.22 |
---|---|
카운티 캠핑카 제작 과정 2편, 좌석 탈거부터 내부 침상프레임 작업까지 (4) | 2025.04.16 |
"내 손으로 만드는 우리 가족 맞춤형 카운티 캠핑카 , 기초 작업 및 좌석 제거하기" (0) | 2025.04.09 |
DIY 캠핑카 도전, 시티밴과 워커스 루벤으로 만드는 나만의 캠핑 공간 (0) | 2025.04.03 |
“3인승 르노 마스터 밴, 가족용 캠핑카로 변신한 개조 작업 전과정 소개” (4) | 2025.03.30 |